콘텐츠로 건너뛰기
자궁경부암
- 임상 증상 (자각 증상)
- 자궁경부암 환자의 가장 흔한 증상은 질출혈이다. 대부분 성교 후 출혈로 나타나나 불규칙한 출혈또는 폐경 후 출혈로 나타나기도 한다.
병변이 진행된 환자에서는 악취성 질분비물 , 체중 감소, 폐쇄성 요로병변이 나타난다.
일반적인 이학적 검사상 쇄골상 림프절, 서혜부 림프절을 촉지하여 전이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 진단법
-
- 암검사( 세포진 검사) : 일반적인 암검사와 액상 세포진 검사
- 경부 생검
- 질확대경검사
- 진단적 원추생검술
- 호발 연령
- 상피내암(0기암)은 침윤성 자궁경부암보다 10년 정도 빠르게 35~40세 정도에서 호발하며 침윤성 자궁경부암은 30세 이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50대에 정점에 달한 후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이를 제외하고 는 전암병변과 침윤성 암의 역학적 특성은 대단히 유사하기
때문에 두 병변은 동일한 질병의 일환으로 간주된다. 국내의 경우 자궁경부암의 유병률 수준은 10만 명당 31명 정도이다.
- 원인 바이러스
- HPV 16,18,58,33
- 역학
-
-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의 자궁경부암발생이 상류층에 비해 5배 정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보다 구체적으로 어떤 요인이 사회경제적 수준과 관련되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 첫 성교시 연령이 가장 중요한 변수로 첫 성교경험의 나이 가 어릴수록 자궁경부암의 발생위험이 처녀의 경우나 첫 성교경험을 늦게 한 경우에 비해 높다고 보고되고있다. 첫성교시 연령 이외에 성교 상대자의 수도 자궁경부암발생에 영향을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남자 성교상대자의 특성 – 남자의 성교상대자 수가 많다거나 성병에 걸린 적이 많다거나,성교의 첫 연령이 어린 경우, 직업여성와의 접촉 등을 말한다.
- 흡연 – 편평세포암이 흡연과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그리고 몇몇 역학적연구에서 흡연자와 자궁경부암의 연관성이 관찰되었다.
- 경구피임약 – 자궁경부암발생의 위험이 증대된다고하여 이들간의 관련성이 역학적으로는 인정되고 있는 실정이다.
- 연관 없는 것 – 초경 연령, 폐경 연령 및 월경의 특성이 자궁경부암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한 다는 증거는 거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