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초기 증상 (1)
임신의 진단 : 증상 및 증후(Diagnosis of Pregnancy)
가임여성의 임신 여부를 진단할 때에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잘못된 진단,부적절한 치료 등은 때로는 법적 분규에 이를 수 있다. 엄신을 진단하는
데 있어서 자궁이 골반강 내에 머물러 있는 첫 몇 주 동안은 때로 오진을 할 수도 있지만,일반적으로 임신을 진단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니다. 임
신의 진단은 자세한 진찰에 의한 증상과 증후 및 검사결과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임신시 증상 및 증후는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확증적 증후,추정적증후
및 가정적 증후 등이다.
☆ 임신의 가정증후(Presumptive evidence of pregnancy) ☆
임신의 가정증후에는 월경의 중단,유방의 변화,질점막의 색깔 변화,피부색소 침착의 중가 및 복부선(abdomna strae)의 출현, 임신에 대한 환자 자신의 느낌 등의 증후가 있으며,구토를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는 오심,배뇨 곤란,피로 및 태동의 감지 등의 자각 증상이 나타난다.
1. 월경의 중단
주기적인 자연월경을 계속해왔던 건강한 여인이 갑자기 월경이 중단되면 강력히 임신을 의심할 수 있다. 월경예정일보다 10일 이상 지나면 임신을 의심할 수 있으며 두 번째 시기가 지나가면 임신을 더욱 의심할 수 있다. 월경이 그치면 임신을 의심할 수 있지만 임신은 이전의 월경없이 될 수도 있고 여성에서
월경처럼 느껴지는 자궁출혈은 종종 임신 후에 나타나기도 한다. 결혼을 일찍하거나 조기에 성경험을 하는 여성군에서는 초경 전에 임신이 되기도 한다. 수유중인 임신부나 폐경에 이르렀다고 생각되는 여성이 임신하기도 한다. 반대로 임신 전반기에 한두 차례 출혈성 분비가 있을 수도 있으며 이것은 월경으로 잘못 생각되기도 하나 대개 짧고 소량이다. 과거,유산하지 않은 임신부에 있
어서 수태기간 19일째까지 약 22%에서 거시적 출혈을 생리적 혹은 착상의 결과라고 보고된 바 있다. 출혈은 초산부보다 경산부에서 3배 정도 더 많다.
경산부의 25%는 출혈의 경험을 보고하기도 한다. 그러나 실제 자궁출혈은 의심할 여지없이 생식기관의 이상에 의한 결과이다. 그러므로 임신기간 동안의 질출혈은 이상생리로 병적인 것이다. 임신 외에 다른 원인에 의해서도 월경이 중단될 수 있는데 가장 큰 원인은 예를 들어 임신에 대한 두려움과 같은 정서적 이상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의한 무배란으로 인한 월경기간의 연장이다. 또한 여러 가지 만성 질환이나 환경변화가 무에스트로젠성 혹은 에스트로젠성 무배란을 일으킬 수 있다.
2. 유방의 변화
일반적으로 임신과 동반되는 유방의 변화는 초산부에서 더욱 현저하다. 또한 프로락틴을 분비하는 뇌하수체종양을 가진 사람이나 프로락틴 분비를 유발하는 신경안정제를 복용하는 사람에게도 비슷한 유방변화가 나타난다. 그리고 유사 혹은 가상임신(pseudocyesis)이나 유방을 반복 자극하는 경우에도 나타난다.
3 자궁경관점액
자궁경관점액을 채취해서 slide glass에 도말해서 말리면 월경주기에 따른 독특한 형태의 결정구조를 현미경을 통해 관찰할 수 있다. 에스트로젠의 영향 을 충분히 받은 배란기 전후 며칠간은 고사리잎 모양(fer-like pater)을 관찰할 수 있는데 이는 에스트로젠의 영향으로 점액내 전해질의 변화,특히 염화나트륨의 농도증가에 기인한 것이다. 완전한 고사리잎 모양이 나타나기 위해서는 염화나트륨의 농도가 1% 이상이 되어야 한다. 프로제스테론이 분비되기 시작하면 즉시 점액 내의 염화나트륨 농도가 낮아지며 고사리잎 모양이 사라지고 염주알 모양(beaded pater)이 나타나게 된다. 임신시에는 많은 양의 에스트로젠이 분비되지만 프로제스테론도 분비되어 그 영향으로 염주알 모양을 관찰하게 된다.
4. 질점막의 채색
임신하는 동안 질점막은 짙푸른 혹은 보라빛 적색으로 나타나고 울혈된다(Chadwick's sign). 이것은 결정적이지는 않지만 임신의 가정증후로서 임신 외 에 골반기관의 울혈 등 여러 상태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5. 피부색소침착의 증가 및 복부선(abdominal striae)의 출현
이러한 피부반응은 임선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나 확정적 증후는 아니다. 이 증후는 오히려 임신기간에는 나타나지 않고 피임약 사용시 나타나기도 한다.